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

땅꼬마의 Springboot 3.X 버전에 Swagger 연동하기 생각보다 문서가 많이 없어서 글로 남긴다. RestAPI 서버를 구축중이고 Swagger와 연동을 진행했다. Springboot 3.0.6 gradle 7.6.1 스프링 3버전 부터 Springfox와의 연동이 되질 않는다. 그래서 build.gradle에 아래와 같이 디펜던시를 추가하였다. implementation 'org.springdoc:springdoc-openapi-starter-webmvc-ui:2.1.0' 기본적인 셋팅은 위 하나의 디펜던시 추가만으로 끝난다. SwaggerConfig도 필요없다 Spring 3에서는 서버실행 후 localhost:8080/swagger-ui/index.html -> Swagger 확인이 가능하다. validation 오류가 있어서 대충 찾아보니 어노테이션 .. 2023. 4. 24.
땅꼬마의 linux - MySQL Workbench 연결하기!! 이번 포스팅은 헤딩하다가 잊지 않기 위해 작성해보았다. 기본적으로 PC에 mysql이 다운되어 있다고 가정한 후 아래대로 따라오면 된다. *가비아 G클라우드 로키OS(linux)에 mysql 설치 후 Workbench에 연결한 과정이다. 1. MySql 설치 yum install mysql-server 2. MySql 활성화 서버에 다운만 받는것이 아닌 활성화(start)를 해줘야 한다 systemctl enable mysqld or systemctl start mysqld * systemctl status mysqld 명령을 통해 상태를 확인한다 3.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암호정책을 설정하고 root 계정에 초기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비밀번.. 2023. 4. 13.
땅꼬마의 MSSQL replace(), stuff() 정리! 전화번호를 입력받다보면 '-' 들어간것과 들어가지 않은 데이터를 발견하게 된다. (입력단계에서 막아놓았다면 좋았겠으나.... 그렇지 않은경우도 있기에ㅠㅠ) 간단하게 '-'을 제거하거나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replace() --replace('문자(컬럼)', '변경대상문자', '변경문자') --예시1) 나 -> 노 로 바꿈 SELECT REPLACE('가나다라마바사', '나', '노') --예시2) -을 공백으로 바꿈 SELECT REPLACE(USER_TEL_NO, '-','')` '-' 제거하여 조회나 값 비교시 자주 활용한다. 2.stuff() --stuff('문자(컬럼)',시작위치,변경할크기,치환할문자) --예시1) 2번째인 B부터 크기 3 BCD -> .. 2023. 3. 20.
땅꼬마의 MSSQL 테이블 디스크립션과 활용! 업무도중 컬럼명을 보면 어떤 값인지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테이블 생성한 후 디스크립션을 남겨 놓으면 후에 조금 더 편하게 이해할 수 있어 테이블생성 후 디스크립션을 생성하고, SP를 생성하여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자 시스템SP인 sp_addextendedproperty 를 사용하고자 한다. 간단하게 USER 테이블을 생성해보자 CREATE TABLE USER_M ( USER_ID VARCHAR(20) PRIMARY KEY , USER_PW VARCHAR(30) NOT NULL , USER_NAME VARCHAR(10) NOT NULL , USER_EMAIL VARCHAR(30) , USER_TEL VARCHAR(13) , VIP_USER_YN CHAR(1) DEFAULT 'N' ) USER_.. 2023. 2. 25.
땅꼬마의 git사용기 - 체리픽(cherry-pick)과 머지(merge)의 차이 땅꼬마 개발자는 SM업무를 하고 있어유 : ) 업무를 하다가 왜 우리 시스템은 머지가 아닌 체리픽으로 소스를 관리하는지 궁금해서 차이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그 상황속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아래에서 확인해보자 우선 기본 개념은 ▶ 체리픽(cherry-pick) - 가져오고 싶은 해당 작업내역(커밋)만 가져온다 ▶ 머지(merge) - 브랜치와 브랜치를 병합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된다. 아래의 이미지를 보면서 확인해보자 프로젝트는 커밋을 기준으로 형상관리가 된다. 개발에서는 작업1~4까지 되어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작업3만 품질에서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한다. 따라서 체리픽을 통해 작업3에 해당되는 내용만 품질에 가져왔다. 개발브랜치의 작업2, 작업4는 품질에 반영이 되지 않는다. 품질에서 -> 운영으로 .. 2023. 2. 24.
땅꼬마의 소스트리(Sourcetree) 사용기 git을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소스트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자!! 소스트리 다운url : https://www.sourcetreeapp.com/ (*왼쪽 상단에 download free 클릭)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 www.sourcetreeapp.com ****소스트리를 사용하려면 먼저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 소스트리에 git계정 연동하기 Remote -> 계정추가 -> 호스팅서비스 Github를 선택하면 .. 2023. 2. 21.
땅꼬마의 Git 개념정리! 형상관리의 개념과 git 소스트리 사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형상관리???? 문서 또는 파일이 변경되었을 때 무슨 이유로 변경이 되었는지 이유와 변경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 협업시 누가 어떤이유로 이 파일을 변경했는지 히스토리를 알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툴로 svn과 git이 있다. 업무에 git을 사용하고 있어 쉽고 빠르고 간결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git은 로컬(내PC) - 원격(git, origin)으로 저장소가 나눠져 있다고 생각하면 조금 더 이해가 편했던 것 같다 github를 통해 원격레파지토리를 만들고 clone 한다. - CLONE: 원격레파지토리의 파일들을 로컬로 복제하는 것 그 다음 아래 이미지를 떠올리면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것 같다. git은 파일.. 2023. 2. 20.
땅꼬마의 MSSQL 활용 프로시저를 검색하고 싶다면 의존도sp!! DB를 사용하다보면 테이블 구조 변경으로 인한 영향도 분석(수정되는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시저, 펑션 조회 시), 아니면 내가 생성한 프로시저나 펑션 등 조회할 때 유용한 프로시저 이다. 땅꼬마는 이렇게 사용하고 있다. CREATE PROC [dbo].[의존도] @OBJ VARCHAR(200) AS SELECT DISTINCT A.NAME FROM SYSOBJECTS AS A INNER JOIN SYSCOMMENTS AS B ON A.ID=B.ID AND B.TEXT LIKE '%'+@OBJ+'%' SYSOBJECTS -> 데이터베이스에서 만들어진 각 개체(제약 조건, 기본값, 로그, 규칙, 저장 프로시저)당 한 개의 행을 포함 SYSCOMMENTS -> 프로시저의 문자열을 (작성한 프로시저 내용).. 2023. 2. 14.
땅꼬마의 Intelij에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하기! 내년 프로젝트를 위해서 기억 저편에 두었던 Spring-boot... 구조도 다시 보면서 프로젝트생성부터 진행해보려한다. 1. 에디터는 이클립스 - vscode를 간단하게라도 사용해보았으니 Intelij로 가보려고 한다. 커뮤니티(무료) 버전은 스프링부트 이니셜라이저(?)가 되지 않아서 스프링에 들어가 직접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다운받았다. build tool : gradle packing : jar - >내장 tomcat이 바로 읽을 수 있음 java jdk : 1.8 환경에 맞게끔 설정하여 제너레이트! 2. intelij에 프로젝트 insert / Hello World 띄우기 TestController.java 파일 생성 @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2022.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