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12

땅꼬마의 log 삭제 crontab 설정! 로그관리! 너무 중요하지만 마냥 쌓아둘 수 없으니 2주치의 로그만 두고 있다. 그리 귀찮지 않아서 처음엔 하나하나 수동으로 삭제했지만(미련하게) 크론탭 설정을 두어 2주치(14일)만 남기고 로그를 삭제하고 있다. 간단한 명령어로 실행이 가능하다! 0 0 * * * find /work/logs/ -name 'nohup.out_*' -mtime +14 -exec rm {} \; 1. crontab : 리눅스에서 스케줄링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crontab -l : 예약된 작업 리스트 출력 crontab -e : 예약된 작업 리스트 수정 crontab -r :예약된 작업 리스트 목록 삭제 숫자는 왼쪽부터 분 시 일 월 요일 나타낸다 첫번째 필드 : 분 (0~59) 두 번째 필드 : 시 (0~23) 세 번째 필드.. 2024. 3. 19.
땅꼬마의 jenkins - Springboot 소스 배포하기! jenkins -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으로 통합해주는 CI(Continuous Integration) 툴이다. 저희 회사에서는 젠킨스에 git이랑 연동하여 자동배포를 구현할 때, 스케줄작업등록(자동빌드)로 활용하고 있다. git 운영브랜치에 push하는 동작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지만 -> 현재 버튼(Build now)을 눌러서 수동으로 배포하고 있어 해당부분까지 연동한 내용을 정리해본다 1.jenkins 설치 - dnf install jenkins : 젠킨스 설치 - systemctl enable jenkins : 백그라운드에서 젠킨스 실행 - systemctl status jenkins : 젠킨스 상태 확인 * service 명령어가 편해서 service 를 사용중 service je.. 2024. 3. 13.
땅꼬마의 docker 관련 명령어 정리! 어쩌다 인프라환경셋팅을 맡아 진행하고 있어 공부하며 환경셋팅하며 사용한 명령어를 정리해본다 1. docker pull (서비스) : 도커이미지 pull -> docker 허브에 올라가 있는 이미지를 내 서버에 당겨온다 ex ) docker pull nginx 웹서버(nginx) 이미지를 pull 함 nginx:(버전) 버전이 명시되지 않으면 lastest(최신버전)이 당겨진다 2. docker images : 도커이미지 확인 내 서버내에 있는(pull로 당겨지거나 빌드하여 생성된) 이미지 리스트를 볼 수 있다 3. docker rmi (이미지명) : 도커이미지 삭제 4. docker run (이미지명) : 도커이미지 실행 옵션 --name은 컨테이너의 이름 지정 -d는 백그라운드 실행 -p는 포트 설정 .. 2024. 3. 4.
땅꼬마의 LINUX 명령어 정리! IDC센터에 서버를 할당받고 서버설정을 하며 필요했던 리눅스 명령어들을 정리해본다. root로 치환 - sudo su - sudo -i 사용자가 root권한을 빌려 사용하는 내용으로 알고 있다. 1.계정생성 adduser 계정이름 2. 패스워드 설정 passwd 계정이름 비밀번호 설정 -> 비밀번호 확인 하면 정상적으로 해당 계정에 비밀번호가 생성된다 옵션 passwd -d 계정이름 : 계정 비밀번호를 삭제 passwd -l 계정이름 : 계정 비밀번호 잠금 (로그인 잠금) passwd -u 계정이름 : 계정 비밀번호 잠금 해제 passwd -n 계정이름 : 사용자가 암호를 바꾸지 못하는 Min day 설정 passwd -x 계정이름 : 사용자 암호 변경없이 사용 가능한 Max day 설정 passwd -.. 2024. 1. 25.
땅꼬마의 카멜케이스 변환기 Excel! 폐쇄망을 이용하다보면 DB 컬럼명들을 카멜케이스로 변환하는데 생각보다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된다. 그래서 엑셀로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변환기를 제작해보았다. *수식은 편의에 맞게 변경/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3. 7. 31.
땅꼬마의 linux - MySQL Workbench 연결하기!! 이번 포스팅은 헤딩하다가 잊지 않기 위해 작성해보았다. 기본적으로 PC에 mysql이 다운되어 있다고 가정한 후 아래대로 따라오면 된다. *가비아 G클라우드 로키OS(linux)에 mysql 설치 후 Workbench에 연결한 과정이다. 1. MySql 설치 yum install mysql-server 2. MySql 활성화 서버에 다운만 받는것이 아닌 활성화(start)를 해줘야 한다 systemctl enable mysqld or systemctl start mysqld * systemctl status mysqld 명령을 통해 상태를 확인한다 3.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암호정책을 설정하고 root 계정에 초기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비밀번.. 2023. 4. 13.
땅꼬마의 git사용기 - 체리픽(cherry-pick)과 머지(merge)의 차이 땅꼬마 개발자는 SM업무를 하고 있어유 : ) 업무를 하다가 왜 우리 시스템은 머지가 아닌 체리픽으로 소스를 관리하는지 궁금해서 차이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그 상황속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아래에서 확인해보자 우선 기본 개념은 ▶ 체리픽(cherry-pick) - 가져오고 싶은 해당 작업내역(커밋)만 가져온다 ▶ 머지(merge) - 브랜치와 브랜치를 병합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된다. 아래의 이미지를 보면서 확인해보자 프로젝트는 커밋을 기준으로 형상관리가 된다. 개발에서는 작업1~4까지 되어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작업3만 품질에서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한다. 따라서 체리픽을 통해 작업3에 해당되는 내용만 품질에 가져왔다. 개발브랜치의 작업2, 작업4는 품질에 반영이 되지 않는다. 품질에서 -> 운영으로 .. 2023. 2. 24.
땅꼬마의 소스트리(Sourcetree) 사용기 git을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소스트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자!! 소스트리 다운url : https://www.sourcetreeapp.com/ (*왼쪽 상단에 download free 클릭)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 www.sourcetreeapp.com ****소스트리를 사용하려면 먼저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 소스트리에 git계정 연동하기 Remote -> 계정추가 -> 호스팅서비스 Github를 선택하면 .. 2023. 2. 21.
땅꼬마의 Git 개념정리! 형상관리의 개념과 git 소스트리 사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형상관리???? 문서 또는 파일이 변경되었을 때 무슨 이유로 변경이 되었는지 이유와 변경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 협업시 누가 어떤이유로 이 파일을 변경했는지 히스토리를 알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툴로 svn과 git이 있다. 업무에 git을 사용하고 있어 쉽고 빠르고 간결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git은 로컬(내PC) - 원격(git, origin)으로 저장소가 나눠져 있다고 생각하면 조금 더 이해가 편했던 것 같다 github를 통해 원격레파지토리를 만들고 clone 한다. - CLONE: 원격레파지토리의 파일들을 로컬로 복제하는 것 그 다음 아래 이미지를 떠올리면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것 같다. git은 파일.. 2023.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