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

땅꼬마의 LINUX 명령어 정리!

by 땅꼬마개발자 2024. 1. 25.

IDC센터에 서버를 할당받고 서버설정을 하며 필요했던 리눅스 명령어들을 정리해본다.

 

root로 치환

- sudo su

- sudo -i

 

사용자가 root권한을 빌려 사용하는 내용으로 알고 있다.

 

1.계정생성

adduser 계정이름

 

2. 패스워드 설정 

passwd 계정이름

 

비밀번호 설정 -> 비밀번호 확인 하면 정상적으로 해당 계정에 비밀번호가 생성된다

 

옵션

passwd -d 계정이름 : 계정 비밀번호를 삭제

passwd -l 계정이름 : 계정 비밀번호 잠금 (로그인 잠금)

passwd -u 계정이름 : 계정 비밀번호 잠금 해제

passwd -n 계정이름 : 사용자가 암호를 바꾸지 못하는 Min day 설정

passwd -x 계정이름 : 사용자 암호 변경없이 사용 가능한 Max day 설정

passwd -e 계정이름 : 패스워드 만료 -> 다음 접속시 강제 바꿈

 

3. 디렉토리생성

mkdir 디렉토리명

 

4. 복사

cp 복사할파일 붙어넣을디렉토리명/파일명

 

옵션

cp -r 디렉토리명 붙어넣을디렉토리 : 하위디렉토리 + 파일 복사

cp -rf 디렉토리명 붙어넣을디렉토리 : 하위디렉토리 + 파일 복사, f를 붙이면 overwrite 여부 (Y/N)을 묻지 않는걸로 기억한다

 

5. 사용권한

chmod 755 파일명

 

권한부여시 제일 많이 사용하는게 755다 소유자에게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그룹, 타계정에는 읽기와 실행 기능만 준다는 의미

 

6. 방화벽관련

#방화벽해제 설정 후 -> reload해야 적용됨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443/tcp
firewall-cmd --reload

#방화벽 확인
firewall-cmd --list-ports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7. 캐시버퍼 삭제

#캐시 버퍼 삭제
1: page 캐시 비우기
2: dentries, inodes 비우기
3: 전부

sysctl -w vm.drop_caches=1
sysctl -w vm.drop_caches=2
sysctl -w vm.drop_caches=3

echo 1 > sudo /proc/sys/vm/drop_caches
echo 2 > sudo /proc/sys/vm/drop_caches 
echo 3 > sudo /proc/sys/vm/drop_caches : 전부 비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