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헤딩하다가 잊지 않기 위해 작성해보았다.
기본적으로 PC에 mysql이 다운되어 있다고 가정한 후 아래대로 따라오면 된다.
*가비아 G클라우드 로키OS(linux)에 mysql 설치 후 Workbench에 연결한 과정이다.
1. MySql 설치
yum install mysql-server
2. MySql 활성화
서버에 다운만 받는것이 아닌 활성화(start)를 해줘야 한다
systemctl enable mysqld
or
systemctl start mysqld
* systemctl status mysqld 명령을 통해 상태를 확인한다
3.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암호정책을 설정하고 root 계정에 초기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비밀번호 설정을 마치면 익명의 사용자 삭제, 원격로그인 설정, 테스트 데이터베이스 삭제 등등 물어보는데 전부 Y처리 했다..
4. mysql -u root -p
명령실행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5. 방화벽해제
g클라우드를 사용해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규칙에 MYSQL (port 3306) 추가해주었다.
보통은
firewall-cmd --parmanent --add-port=3306/tcp
로 방화벽을 열어주는 것 같다.
7. mysql에 외부접근 허용 유저 추가
create user '사용자ID'@'%' identified by 'password';
'%' -> 요것이 외부에서 접근을 허용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8. Workbench 에 연결
-conection name : 구분할 이름
-connection method: 스탠다드(tcp/ip) 사용
-Hostname : IP주소 입력 -port : 3306 (mysql 포트)
-username: 생성한 아이디
*store in vailt... -> 비밀번호입력 및 저장할 수 있음
test connection으로 연결여부 테스트 후 OK!!
끝.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꼬마의 LINUX 명령어 정리! (2) | 2024.01.25 |
---|---|
땅꼬마의 카멜케이스 변환기 Excel! (0) | 2023.07.31 |
땅꼬마의 git사용기 - 체리픽(cherry-pick)과 머지(merge)의 차이 (0) | 2023.02.24 |
땅꼬마의 소스트리(Sourcetree) 사용기 (0) | 2023.02.21 |
땅꼬마의 Git 개념정리!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