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홈페이지 구축하면서 EC2 구축하고 자연스럽게 배포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리눅스에서 git 소스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매번 ID/PW(토큰)을 물어봐서 번거로운 부분이 있었다.
방법을 찾는 중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어 기록하게 되었다.
Credential 정보 저장
git config credential.helper store
Credential 에 정보가 저장되어 이후 id/pw를 묻지 않고 바로 명령이 실행된다.
동료 모두가 개발 - 반영 하고 있어서 나는 위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캐시 저장
git config credential.helper cache
git config credential.helper 'cache --timeout=3600'
이런식으로 캐시에 저장하여 특정 시간만큼 사용할 수 있다. 기본값의 경우 15분, timeout을 설정하면 그 시간만큼 id/pw 묻지 않는다. (timeout은 초단위)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꼬마의 git사용기 - 체리픽(cherry-pick)과 머지(merge)의 차이 (0) | 2023.02.24 |
---|---|
땅꼬마의 소스트리(Sourcetree) 사용기 (0) | 2023.02.21 |
땅꼬마의 Git 개념정리! (0) | 2023.02.20 |
땅꼬마의 Intelij에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하기! (0) | 2022.12.15 |
땅꼬마의 Maven과 Gradle 개념정리하기! (0) | 202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