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

땅꼬마의 Git 개념정리!

by 땅꼬마개발자 2023. 2. 20.

형상관리의 개념과 git 소스트리 사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형상관리????

문서 또는 파일이 변경되었을 때 무슨 이유로 변경이 되었는지 이유와 변경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

협업시 누가 어떤이유로 이 파일을 변경했는지 히스토리를 알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툴로 svn과 git이 있다.

 

업무에 git을 사용하고 있어 쉽고 빠르고 간결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git은 로컬(내PC) - 원격(git, origin)으로 저장소가 나눠져 있다고 생각하면 조금 더 이해가 편했던 것 같다

 

github를 통해 원격레파지토리를 만들고 clone 한다.

- CLONE: 원격레파지토리의 파일들을 로컬로 복제하는 것 

 

그 다음 아래 이미지를 떠올리면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것 같다.

git은 파일이 수정되면 변경내용을 자동으로 인식한다

- COMMIT : 파일을 생성 또는 수정하고 변경이력을 작성하는 것, 보통 작업단위별로 커밋을 한다. 내 로컬에만 변경내역이 확정 됨

커밋 메세지 ex :  20230220 땅꼬마 로그인페이지 구현

- PUSH : 로컬 -> 원격레파지토리로 변경 내용 전송(저장)

- PULL :  원격 -> 로컬레파지토리로 변경 내용 전송(저장)

               *여러명이 협업하는 경우 다른 사람이원격 레파지토리에 푸쉬한 내용을 내로컬에 가져와야 한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명이 사용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될 것이다

 

 

원래는 git bash를 통해 명령어로 관리해줘야 하지만 위와 같은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UI가 소스트리이다.

내영이 길어져서 소스트리 사용법과 git의 기능들에 대해서 다음번 포스팅으로 넘기려고 한다!

 

모든 개발자들 화이팅!!!!